본문 바로가기
Semiconductor industry

미래 반도체 강국을 위한 첫걸음,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인프라 구축 확정

by 반의반도체 2024. 11. 27.
728x90
반응형
SMALL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반도체 산업단지입니다. 이 클러스터는 반도체 생산 공장을 포함한 첨단 인프라로 구성될 예정이며, 한국의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이번에 발표된 전력과 용수 공급 계획은 이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핵심 인프라입니다.

전력 공급: 10GW 확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10G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약 1,00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막대한 양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와 한국전력, 민간 기업들이 협력하여 단계별로 전력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1. 1단계 (2030년까지):
    초기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동서발전, 남부발전, 서부발전이 각각 1GW 규모의 LNG 발전소를 건설합니다. 이로써 약 3GW의 전력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2. 2단계:
    추가적인 전력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호남 지역에서 용인 클러스터로 연결되는 송전선로가 건설됩니다. 이 송전선로는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수송하기 위한 중요한 인프라입니다.
  3. 3단계 (2044년 이후):
    향후 예상되는 추가 전력 수요에 대비해 새로운 송전망과 발전 기술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대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공업용수 공급: 하루 133만 톤

반도체 제조 공정에는 막대한 양의 물이 필요합니다. 용인 클러스터에서는 하루 약 133만 톤의 공업용수가 필요하며, 이는 인천광역시 전체 인구가 하루 동안 사용하는 물의 양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기존의 수도권 수자원만으로는 이 물량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협력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1. 하수 재이용:
    기존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정화한 후 재이용수로 공급하여 부족한 물량을 보충합니다.
  2. 발전용수 재활용:
    발전소에서 사용된 물을 재활용하는 방법도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경을 보호하면서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해집니다.
  3. 통합 복선관로 구축:
    별도의 용수 공급 시설을 각각 설치하는 대신, 통합된 복선관로를 구축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합니다. 이 복선관로는 사고가 발생해도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투자 및 경제 효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는 600조 원 이상의 투자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정부와 민간 기업들이 협력하여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반도체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특히, 한국전력은 대규모 송전망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하며, 민간 기업들은 산업단지 내 변전소와 송전선로 건설에 투자합니다. 전체 사업비 2조 4,000억 원 중 30%는 공공이, 70%는 민간이 분담하게 됩니다.

 

미래 반도체 강국을 향한 발걸음

이번 인프라 구축 계획은 한국이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완성되면, 첨단 시스템 반도체를 생산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반도체의 위상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정부와 민간 기업이 협력하여 구축하는 이 인프라는 단순한 산업단지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핵심 자원이 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꿈꾸는 첨단 기술, 미래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게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